티스토리 뷰
운전을 하신다면 가끔 제신호에 정지를 햇는지 카메라에 단속되진 않았는지 궁금할 때가 있습니다. 또, 차량이 도로교통법을 위반하여 과태료를 부과받거나 범칙금을 부과받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고 납부시기를 놓치거나 잊고 있다가 알게되는 경우가 있는데요 이러한 사실을 나중에 알게되어 당황하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럴 때 당황하지 않도록 미납 과태료 조회 확인하는 방법에 대한 정보를 알아보겠습니다.
미납 과태료가 있는지 확인하려면 아래 정보를 읽으십시오.
미납 과태료 조회
운전할 때 탁 트인 도로에서 나도 모르게 과속으로 운전하여 규정 속도를 위반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속도 제한 표지판을 보지 못하였거나 새롭게 설치된 무인 카메라에 걸릴 수도 있죠. 이렇게 교통 법규를 위반 하게 되면 벌금 통지가 집으로 발송되게 됩니다.
발송되게 되는 우편은 보통 주민등록 주소지로 발송하게 되는데 주민등록상 거주지와 실제 거주지가 다른 경우가 있으며, 이런 경우 우편물이 오랫동안 방치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럴때는 직접 인터넷으로 과태료 조회를 진행하여 미납된 과태료를 납부하셔야 합니다. 먼저 포털 검색에 '이파인'이라고 검색을 합니다. 그러면 경찰청교통민원24 사이트가 나타납니다. 해당 공식홈페이지로 이동하여 미납 과태료 메뉴로 이동합니다.
공인인증서나 브라우저인증서를 이용하여 로그인합니다.
앞으로 12/10일이 지나면 공인인증서가 폐지될 예정이니 아래 내용을 참고하세요.
공인인증서 폐지
공인인증서 10일부터 폐지된다…앞으로 민간 전자서명 시대
기존 공인인증서도 유효기간까지 이용 가능
www.hani.co.kr
오는 10일부터 공인인증서가 폐지된다. 대신 액티브엑스(ActiveX) 등의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다양한 방식의 민간 전자서명이 활용된다. 전자서명 발급을 위한 신원확인도 비대면 방식으로 가능해지며, 10자리 이상의 복잡한 비밀번호 대신 생체정보나 간편 비밀번호(PIN) 등으로 가입자 인증을 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돌아와서 위에서 로그인이 완료되면 '미납 과태료 메뉴' 다시 선택하여 미납 과태료가 있는 지 바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저는 다행스럽게도 0건이 조회되네요. 미납 벌금이있는 경우 여기에서 바로 확인을 할 수 있는데요. 생각보다 너무 쉽고 간단하게 조회가 됩니다.
아래에 경찰청 교통민원 24 (이파인) 바로가기 주소를 남겨놓겠습니다.
경찰청교통민원24(이파인)
경찰청교통민원24(이파인)
www.efine.go.kr
미납 범칙금 조회
메인화면 바로 옆에보면 '미납 범칙금' 항목이 있습니다. 앞에서 미납 과태료 조회를 했던 것과 동일하게 진행하시면 미납 범칙금도 바로 조회가 가능합니다.
여기까지 미납 과태료와 미납 범칙금을 찾는 방법을 배웠는데요. 당장에 범칙금이 조회되지 않더라도 방심하지 마시고 항상 안전하게 운전해야합니다. 아래의 벌점 부과에 대한 내용도 숙지하시길 바랍니다.
벌점 부과
범칙금의 경우 운전자에게 부과되는 금액이며 벌점이 부과될 수 잇으니 알고 계시는 것이 좋습니다. 운전 벌점 40점 이상인 경우에는 운전 면허가 정지됩니다.
누적점수가 1년 121점이상, 2년동안 201점이상, 3년동안 271점이상이 되면 면허가 취소됩니다.
자신의 운전 면허 벌점을 조회하여 운전 면허 정지나 벌점으로 인한 면허정지 등을 당하지 않도록 세심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위에서 본 것과 같이 주기적으로 자신에게 부과된 과태료가 없는 지 확인해야 하며 나의 운전 면허에부과된 벌점이 있는지도 꼼꼼히 알아보아야 합니다.
또한 운전면허 갱신도 제때 해주지 않으면 과태료를 물 수 있으니 운전면허 갱신도 기한을 넘지 마시고 기한내에 꼭 해주시면 좋겠습니다. 여기까지 미납 과태료와 미납 범칙금 조회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앗는데요.
뭐니뭐니 해도 최선은 안전한 운행을 통한 나와 내가족의 보호가 중요하겠습니다. 안전한 운전습관을 정착시켜 쾌적한 운전하시길 기원합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 qr코드 발급 방법 (0) | 2020.12.04 |
---|---|
전화 출입명부 사용법 (0) | 2020.12.03 |
청년특별구직지원금 자격 신청방법 (3차, ~12/7) (0) | 2020.12.02 |
영유아 건강검진 총정리 (0) | 2020.12.01 |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내용 (0) | 2020.12.01 |